이카's
반응형
article thumbnail
자료구조 - Stack
SW/자료구조 2023. 6. 7. 01:33

스택 스텍은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게임) 스텍이란 마지막에 넣은 데이터를 가장 먼저 추출하는 자료구조이다. 즉, LIFO를 말하며, 주로 컴퓨터 내부 프로세스 구조의 함수 동작 방식이 이걸로 구현되어 있다. 또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뒤로가기도 스텍구조 이다. 스텍 사용법 자바 내부라이브러리에 스텍이 구현되어 있다. import java.util.Stack; Stack stack = new Stack(); //int형 스택 선언 Stack stack = new Stack(); //String형 스택 선언 util에 있는 stack이 구현되어 있으며, import시 사용할 수있다. 이미 내부에 다양한 메서드가 구현되어 있다. 추가 push() push(value) 메서드를 활용하면 된다...

article thumbnail
자료구조 정리 #1 배열(Array), 리스트(LinkedList), 큐(Queue), 스택(Stack)
SW/자료구조 2020. 11. 12. 02:11

- 자료구조의 분류 선형구조 1. 배열 (Array) (선형 리스트) 배열의 특징은 논리적 순서와 물리적 순서가 일치한다. 즉, index값을 통해 원소 접근이 용이하며, 구현이 쉽다. 하지만 단점으로 삽입, 삭제 등에 대한 연산에 필요한 Cost가 높다. 삭제를 하는 경우 순서를 맞추기 위해 뒤의 원소들을 앞으로 Shift 연산을 해줘야 한다. 삭제 1 2 3 4 5 1 2 삭제 4 5 1 2 4 5 1 2 4 5 2. 연결 리스트(LinkedList) 배열의 삽입/삭제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만든 개념이 리스트이다. 배열은 논리적, 물리적 저장이 순서대로 되어 있다. 하지만 리스트는 논리적으로는 순서대로 되어 있으나 물리적으로는 순서대로 되어있지 않다. 대신 각 원소가 index위치에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