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발의 특이점
개발 공부를 하고 있는 현재 내 상태는

뭔가 개발이란 이런거구나 라는 결이 보이기 시작했으면서도 아직 어렵고, 뭐 그런 느낌이다. 그래도 어떤 고점으로 올라가기 시작한 느낌도 들기 시작하고, 참 애매한 느낌이다.

이쯤에서 리마인드를 하기 위해서, 내 생각을 정리하고 목표 설정을 위해 포스팅을 한다.
2. 1. 개발 공부 어디까지 해봤어?
지금 Java를 한번 훑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재는 개념을 30%정도 알고 있다고 생각한다. 즉, 애매하게 알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Java를 1회독 더 할 생각이다. 이번 회독은 빠르게 가능 할 듯하다. 또한 조금 더 깊게 공부가 가능할 것이고, 목표는 70%정도 까지 이해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목표 기간은 6월 한 달간이다. 이후로는 스프링 프로젝트와 공부로 바쁠 듯하다. 지금밖에 시간이 없다. 내일 당장 시작해야 한다.
??? : 프로젝트 경험 있으세요? 설명해보세요!
음... 제가요... 있잖아요...
3. 2. 내 프로젝트 관리
현재 물어본다면, 말을 하지만 자신감 없이 더듬더듬 말할듯 하다.
내가 했던 프로젝트를 설명을 못한다? = 자존심 상처입음
이력서를 작성하기 앞서 내가 만들었던 프로젝트에 대해 깊게 알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어떤 부분을 담당하였고, 자세하게 설명을 해줄 정도로 깊게 알아야 한다. 이를 위해 정리가 필요하다.

3.1. 프로젝트 정리
내가 주로 맡았던 파트, 기능, 구현을 한번 쭉 정리를 하여 머리속에 넣을 필요가 있다. 아래 주제로 List-up할 계획이다.
- 어떤 부분을 담당하였는가?
- 왜 해당 부분을 담당하였는가?
- 어떻게 구현 했는가?
- 왜 이런 로직으로 구현하였는가?
- 로직에 대해 설명이 가능한가?
디테일 하지만 저 부분만 딱 정리한다면, 다음 프로젝트에 있어서도 명분이 생길 것이고, 내가 담당하고자 하는 파트를 보다 쉽게 팀원들에게 설득할 자신감이 생갈 것이라 생각한다.
4. 검색의 개념
블로그 검색은 좋은 습관이다. 내 앞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봤을 것이고, 어떤 기록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습관적으로 블로그를 들어가 보는게 요즘 공부하는 방법 같다.

하지만 조금 신뢰있는 사이트를 이용해보려고 한다. 요즘 공부하면서 블로그마다 말이 다 다르다는 것을 느꼈다.
- 공식문서 - srping.io, kotlinlang.org
- 블로그 - medium, github(신뢰 할 수 있는 것을 follow 해두기)
- 뉴스 - reddit
세 가지 방법을 두고 찾는 습관을 만들 필요가 느껴졌다.
또한 습관적으로 How to
로 검색하는 습관을 가져야겠다.

마지막으로 비교적 최근 정보를 찾아보고 검색하자. 지난 1년 기준으로 검색하는게 반드시 맞다라고 생각하지는 않지만, 최대한 찾아보고 순차적으로 가는 연습이 필요할 것 같다.
5. Error Log 만들기
지금 내가 만난 에러는 미래에 만날 가능성은?

5.0.0.1. 이 이미지는 YouTube G무비에 저작권 있습니다.
58000% Yes
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런데 왜 에러 코드를 작성을 안할까?
6월부터 Spring강의를 시작하면서 반드시 Error Log
를 작성할 예정이다.
작성하는데, 너무 시간을 쏟지 말고 아래 3가지 방법으로 작성하려고 한다.
- 에러 이름
- 왜 났는가?
- 해결 했던 방법
6. 총 정리
- 자바 1회독 - 70%이해 까지 목표
- 프로젝트 정리
- 검색 습관 만들기
- Error Log 만들기
6.0.1. Referance
참고 자료
G무비
'개인공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황 및 회고 (0) | 2024.08.08 |
---|---|
제 2회 코딩올나잇 (0) | 2023.05.10 |
제1회 코딩올나잇 (0) | 2023.05.04 |